기사 메일전송
경기도의회, 자전거 이용률 10년 전으로 역주행 - 전거 출퇴근 수당 등 정책 전환 시급
  • 기사등록 2017-11-01 08:22:02
기사수정

【오산인터넷뉴스】홍충선 기자 = 경기도 각 시군이 막대한 재정을 투입해 공공자전거를 운영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자전거 교통분담률은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공공재정에만 전적으로 의존하는 현행 공영자전거를 민영공유자전거로 전환하는 등 공공자전거 정책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안산발전연구원과 경기연구원이 26일 안산시 더플레이그라운드에서 개최한 안산시 지역발전전략연구 4차 포럼에서 양근서 경기도의원(민주,안산6)은 경기도로부터 제출받은 경기도 교통수단분담률자료를 공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 전체 자전거 교통분담률은 2015년 기준으로 1.45%에 불과해 승용차(37.96%), 도보(22.84%), 버스(22.25%), 철도(6.23%), 택시(4.49%)에 비해 턱없이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20101.74% 20061.5%보다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각종 자전거이용활성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자전거 이용률은 오히려 10년 전 수준으로 후퇴한 것이다.

 

특히, 공공자전거를 운영하고 있는 안산시, 고양시, 시흥시, 이천시, 과천시 등 5개 시의 자전거교통분담률도 5년 전보다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부천시만 유일하게 20102.73%에서 지난해 2.95%로 상승했다.

 

경기도 6개 도시에서 운영중인 공영 자전거시스템은 각 시의 재정사업으로 설비와 관리운영을 하는 방식으로 초기 투자비를 제외하고 관리 운영비만 연평균 50억원에 달한다.

 

가장 많은 재정을 투입하고 있는 안산시의 경우 2013년부터 공영자전거 페달로를 운영하면서 자전거 구입과 도킹 스테이션 설치 등 최초 설치비용만 35억원을 투입했고, 매년 운영비만 20억원을 쏟아 붓고 있으나 자전거교통분담률은 5년전 2.26%에서 지난해 2.08%로 오히려 감소했다.

 

양근서의원은 막대한 재정이 들어가는 공영자전거 정책이 얼마나 헛돌고 있는 지 명확하게 드러났기 때문에 공영자전거에 대한 추가 재정투입을 중단해야 한다재정부담이 없으면서 시민은 이용하기 편리한 민영 공유자전거 제도의 도입을 비롯해 자전거 출퇴근 수당제, 자전거친화기업 인증제도 등 실질적인 자전거이용 활성화 정책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7-11-01 08:22:02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최근 많이 본 기사더보기
뉴스제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