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오산인터넷뉴스】하주성 기자 = 사적 제57호 남한산성은 수도를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성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남한산성은 이미 백제·통일신라·고려·조선 등으로 이어진 시대에 걸쳐 한강유역 및 수도를 방어했던 곳으로 단 한 번도 함락당한 적이 없는 천혜의 요새다.

 

▲ 수어장대로 오르는 남한산성의 길

 

남한선성 전체 길이는 11.7km(본성 9km, 외성 2.71km)로 옹성 5개와 4대문 등이 노송군락 주변 자연경관과 함께 보존돼 있으며, 특히 조선시대 인조, 숙종, 영조, 정조기의 다양한 축성기법 표본이 보존된 곳이다.

 

1624년 수축 결과로도 대단한 성곽

 

인조 2년(1624년) 총융사 이서에게 옛터를 따라 남한산성을 축성토록했다.

 

수축 결과 남한산성은 성곽 둘레 6천297보, 성곽 위 여장 1천897개, 옹성 3개, 대문 4개, 암문 16개, 그리고 ‘군포(軍砲)’가 설치됐다.

 

또한 성안은 우물 80개와 샘 45개가 각각 만들어 졌고, 왕이 거처할 행궁도 함께 축조돼 상궐 73칸 반, 하궐 154칸 등 모두 227칸이 건립되고 화관(객관)도 갖췄다.

 

▲ 제6암문

 

▲ 성안에서 본 6암문 모습과 통로. 평거식 암문이다.

 

조선시대에 남한산성은 5군영 가운데 하나 수어청의 근거지이자, 광주 읍치를 관리하는 행정부서 관아시설이, 1917년 광주 경안동으로 이주하기 전까지 290년간 운영되던 조선 최대의 산악군사행정지역이기도 했다.

 

삼전도의 굴욕

 

조선조 인조 14년(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났다.

 

그 해 12월14일 왕은 강화로 피신하고자 했으나, 이미 청군에개 길이 막힌 뒤였다.

 

인조는 소현세자 등 문무백관을 거느리고 남한산성으로 급히 피신했다.

 

12월16일 청의 12만 대군이 남한산성을 포위했다.

 

▲ 제7암문

 

▲ 갑자기 성곽이 방향을 빠꿔 암문이 보이질 않는다 

 

1637년 1월1일 청 태종이 도착해 남한산성 아래 탄천에 20만 군사를 집결시켜 남한산성은 완전히 고립됐다.

 

성안은 1만3천 명의 군사들이 있었으나 20만 명이 넘는 청군과 교전을 할 수 없었다.

 

더욱이 산성으로 피난이 급박하게 이뤄져 미쳐 식량을 운반하지 못하고, 전국 각지에서 구원병들이 일어났으나 남한산성에 도착하기 전 모두 궤멸당했다.

 

병자년에 혹독한 추위로 굶고 얼어 죽는 병사들이 속출했다.

 

강화도 함락 사실을 확인한 인조는 더이상 버틸 힘을 상실하고, 1월30일 남한산성을 나가 송파구 삼전도 부근 나루터에서 항복했다.

 

강화조건 결과로 소현세자와 부인 강씨, 봉림대군과 부인 장씨, 그리고 김상헌 등의 신하들이 청나라 선양으로 압송됐다.

 

▲ 홍예식 암문인 제7암문의 모습

 

두 가지 형태로 조성한 암문

 

2013년 1월8일 일요일. 남한산성에 올랐다.

 

볼 것이 많은 곳이다.

 

남한산성은 두 번에 걸쳐 꼼꼼히 답사를 하리라 마음을 먹고 올랐다.

 

남문주차장에서 출발해 서장대와 남문을 지나 옹성까지 걷기로 했다.

 

이 곳 옹성과 암문을 보기 위해서다.

 

남한산성의 옹성과 암문은 세계문화유산 화성과 어떻게 다른 모습인지 궁금했다.

 

서장대를 지나 먼저 만난 건  ‘제6암문’이다.

 

화성의 암문과는 달리 남한산성의 암문은 두 가지 형태가 있다.

 

홍예식 암문과 평거식 암문이다.

 

홍예식 암문은 대다수 암문의 형태이며 문을 달아내는 암문이다.

 

그와 달리 평거식 암문은 좁은 통로를 만들어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제6암문은 제2암문과 더불어 단 두 곳 뿐인 평거식 암문이다.

 

평거식 암문은 좁은 통로를 만들고 그 앞을 위장해 군사들이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 제6암문은 밖으로 노출되지 않으며, 북동쪽 성벽이 돌출돼 암문으로 다가오는 적을 공격할 수 있다.

 

인조 15년(1637년) 1월23일 한밤중에 습격한 청병을 암문을 통해 나간 병사들이 크게 물리쳤다고 해 이 곳을  ‘서암문 파적지’라 한다.

 

▲ 파손된 남제1옹성

 

▲ 남제1옹성의 모습

 

남문을 지나면 제1남옹성이 있다.

 

이 옹성으로 군사들의 이동을 편리하게 낸 암문이 바로 제7암문 옹성암문이다.

 

이 암문은 홍예식으로 조성됐으며 남한산성의 성벽을 따라 옹성까지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암문이 조성된 곳은 갑자기 성벽의 방향이 바뀌어 발견하기가 쉽지가 않다.

 

포를 발사하는 옹성의 위용

 

수원 화성은 네 곳의 옹성이 있다.

 

이 옹성들은 모두 4대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남한산성의 옹성은 그 것과는 다르다.

 

문을 보호하는 성곽이기 보다는 성벽으로 접근하는 적을 3면에서 공격을 할 수 있도록 만든 구조물이다.

 

이런 형태는 딴 성곽에서 찾아 보기가 힘들다.

 

▲ 옹성의 끝에는 포구가 있다

 

▲ 암문을 나와 옹성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통로

 

현재 제1남옹성은 파손된 채 있다.

 

하지만 그 일부 남은 성곽으로만 유추해도 상당한 위력을 보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산의 능선이 높아지는 끝까지 뻗은 옹성은 양편 골짜기를 따라 높은 곳으로 오르는 적을 막아낼 수 있다.

 

옹성 끝에 8개의 포대가 설치돼 있다.

 

옹성에서 직접 제7암문으로 드나들 수 있도록 통로가 마련된 남한산성의 옹성과 암문.

 

이런 구조로 성을 쌓았다는 건 남한산성 역할이 그 만큼 중요했다는 뜻이다.

 

눈길을 밟으며 찾아간 남한산성.

 

성곽을 따라 걸으며 당시(인조 때) 식량만 충분했다면, 삼전도의 굴욕은 없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3-02-16 13:44:41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최근 많이 본 기사더보기
뉴스제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